본문 바로가기
국가의 날, 기념일, 공휴일, 비공휴일

한국의 전통 명절 "단오" 알고 여름 대비하자!

by 그날 이야기 2024. 6. 9.
728x90
반응형

  한국의 전통 명절 단오


단오는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명절로, 음력 5월 5일에 해당하는 날이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 '오(午)'는 다섯을 뜻하므로 '초닷새'라는 의미이다.

단오는 일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로 여겨졌으며, 태양신을 가장 가까이 접하는 날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큰 명절로 여겨졌고, 전국적으로 다양한 행사와 풍속이 행해졌다.
단오는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의 성격도 있었다. 또한 더운 여름을 맞기 전 초하(初夏)의 계절이었기에, 여름을 맞이하는 의미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단오의 유래, 풍속, 그리고 이를 기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단오의 유래와 풍습


단오의 유래는 중국의 충신 굴원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날인 5월 5일을 기리기 위해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단오는 병마와 전염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시작된 명절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유래에도 불구하고, 단오는 우리 선조들에게 중요한 명절로 여겨져 왔습니다.

 

 


단오에는 다양한 풍속이 있는데 가장 인기 있는 민속놀이는 씨름이었다.
씨름은 남자들이 즐기던 대표적인 단오 놀이로, 더운 여름을 맞아 신체를 단련하는 의미가 있었다. 
단오 무렵에는 전국 각지에서 씨름대회가 열렸는데, 특히 강릉단오제 기간 중에 열리는 강릉 씨름대회가 유명했다.
그 외에도 그네뛰기, 활쏘기, 석전(돌싸움) 등의 민속놀이가 단오 때 행해졌다. 

여성들은 외출이 제한되었던 평소에 비해 단오 때만큼은 밖에서 그네를 뛰는 것이 허용되었다고 한다.


  결론


단오를 기리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강릉에서 열리는 단오제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 강릉 단오제 축제

 

 

강릉단오제

강릉단오제, (사)강릉단오제위원회

www.danojefestival.or.kr

 

 

 

이 행사에서는 수리취떡 만들기, 창포물로 머리 감기, 그네 뛰기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오에는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수리취떡은 단오 때 먹는 음식으로 가장 유명합니다.

 

※  수리취떡은 전라남도 지방의 대표적인 단오 음식입니다. 수리취 나물을 반죽에 섞어 만든 경단이나 지단 형태의 떡으로, 보리고개를 넘기며 농사일을 했던 농민들의 휴식처럼 여겨졌습니다.


단오는 한국의 중요한 명절로, 우리 선조들의 지혜와 전통을 이어받는 중요한 날입니다. 이 날을 통해 우리의 전통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되새겨 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6월 6일은 쉬는날? 현충일

◎ 6월 6일 현충일 오늘은 휴일, 쉬는날이 아닌 기념하는 날 입니다.  단지 쉬는 날이 아닌 대한민국의 중요한 역사적인 배경이 있는 날입니다. 현충일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기념일이자 법정공

assky.tistory.com

 

 

 

 


 #단오, #한국의명절, #전통문화, #풍속, #유래, #창포물, #그네뛰기, #수리취떡, #강릉단오제, #명절의의미, #초닷새, #5월5일, #음력명절, #한국문화, #전통행사, #부채선물, #씨름대회, #제호탕, #앵두화채, #단오선, #단오부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