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의 날, 기념일, 공휴일, 비공휴일

8.15 광복절: 한민족의 자유를 되찾은 역사적인 날

by 그날 이야기 2024. 6. 12.
728x90
반응형

◎ 8.15 광복절이란?

8월 15일은 한민족이 일본 제국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된 역사적인 날입니다. 이 날은 1945년 8월 15일, 일본 천황 히로히토가 연합국의 포츠담 선언 수락을 라디오 방송으로 발표하면서 한반도가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난 날입니다. 그러나 8월 15일 당일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해방 사실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다음날인 16일부터 형무소 수감자 석방, 환호 시위 등이 있었습니다. 북한 일부 지역은 소련군이 8월 11일부터 진주하면서 일찍 해방되었습니다. 일부 극단적인 일본인들은 한반도 포기를 거부하며 저항했지만, 결국 진압되었습니다. 

● 한반도 해방은 카이로 선언에 따른 것으로, 조선총독부가 해체되고 옛 대한제국 영토가 반환되었습니다. 따라서 8.15 광복절은 한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자유를 되찾은 역사적 날이며, 그 의미를 기념하고 있습니다.

 

  식민지가 된 과정

대한민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876년 강화도 조약 - 일본에 의해 개국이 강요되었습니다.

● 1904년 러일전쟁 - 일본이 승리하면서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습니다.

● 1905년 을사늑약 -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를 설치했습니다.

● 1907년 정미7조약 - 한국의 내정을 일본에 의해 통제받게 되었습니다.

● 1909년 안핵사 이토 히로부미 의거 - 이를 구실로 일본은 군대를 증원했습니다.

● 1910년 경술국치 - 한국 군대를 해산하고 주권을 박탈하여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 1919년 3.1운동 - 일제의 식민통치에 반발한 대규모 민족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이렇게 일본은 강압적인 조약과 군사력을 동원하여 점진적으로 한반도를 병탄하고 주권을 침탈했습니다. 이에 한국인들은 끊임없이 저항했지만 결국 1910년 국권을 상실하고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광복을 위해 국내외에서 다양한 항일 운동

● 국내 항일 운동

-3.1운동: 1919년 전국적인 대규모 민족해방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비폭력 시위와 만세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의병운동: 의병부대가 결성되어 일본군과 무력 투쟁을 벌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이인영, 이익상 의병부대가 있었습니다.

-학생운동: 1920년대 이후 학생들이 주도한 민족운동이 활발해졌습니다. 광주학생운동, 광주학생의거 등이 있었습니다.

 

● 국외 항일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년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외교활동과 독립운동을 주도했습니다.

-의열단: 중국 등지에서 활동하며 폭력 직접혁명 노선을 취했습니다. 이시영, 이종암 등이 활약했습니다.

-독립군 활동: 만주, 연해주, 중국 등지에서 무장독립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홍범도, 김좌진 등의 독립군부대가 일본군

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군대로 미군, 중국군과 연합하여 일본군과 싸웠습니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다양한 형태의 민족운동과 무장투쟁이 이루어져 마침내 광복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  국내외에서 활발히 전개된 항일 운동의 주요 인물

 

● 국내 항일운동 인물

-윤봉길: 1932년 상하이 홍구공원에서 일본인 주재 관리들을 폭탄 테러했습니다.

-유관순: 1919년 3.1운동 때 시위에 참여해 체포되어 감옥에서 횃불이 되었습니다.

-이회영: 고종 황제의 밀명을 받고 국외 망명을 주도했습니다.

-권쾌복, 배학보, 유흥수: 대구사범학교 다혁당 사건의 주모자들입니다.

 

● 국외 항일운동 인물

-이승만: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지냈습니다.

-김구: 의열단 활동을 주도하고 한인애국단, 한국독립당을 이끌었습니다.

-홍범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을 지내며 독립군 활동을 주도했습니다.

-김원봉: 의열단원으로 활약하다 일본 경찰에 피체되어 옥고를 치렀습니다.

-김좌진: 북로군정서 및 한국독립군 총사령관을 지냈습니다.

 

 

  대한민국이 일본 제국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광복된 주요 이유

 

  국내외에서의 끈질긴 독립운동과 항일 무장투쟁: 국내에서 3.1운동, 임시정부 수립 등 비폭력 민족운동이 지속되었습니다. 만주, 연해주, 중국 등지에서 독립군과 의용군의 무장투쟁이 전개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활동과 한국광복군의 대일 항전: 임시정부는 국제연맹, 국제연합 등에서 한국의 독립을 호소했습니다. 한국광복군은 미군, 중국군과 함께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의 승리: 연합국의 일본에 대한 승리로 한반도가 해방될 수 있었습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 천황의 항복 선언으로 한반도 식민지배가 종식되었습니다.

 

  카이로 선언에 따른 한반도 반환: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한반도가 해방된 후 반환될 것이 천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조선총독부가 해체되고 옛 대한제국 영토가 반환되었습니다.

 

따라서 국내외 독립운동, 연합국의 승리, 카이로 선언 등에 힘입어 대한민국은 마침내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2024.06.08 - [국가의 날, 기념일, 공휴일, 비공휴일] - “3월 1일, 우리가 기억해야 할 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