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날의 의의와 기념 문화
한글날은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는 국경일로, 세종대왕이 1446년에 반포한 훈민정음(한글)의 창제를 기념합니다. 법정 공휴일이자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므로 이날은 태극기를 게양합니다.
한글날은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날입니다. 한글을 주제로 다양한 행사가 전국에서 열리며, 기업 브랜드나 CI의 외국어 표기를 한글로 바꾸는 행사도 진행됩니다. 또한, 웹사이트에서 로고를 한글로 교체하는 등의 행사를 연다. 개인/단체에서 한글 글꼴을 무료 배포하기도 합니다. 북한에서는 1월 15일을 '조선글날’로 지정하여 기념합니다.
◎ 한글의 창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창제 배경
당시 한자는 어려워 일반 백성들이 문자생활을 하기 힘들었습니다.
민족정신을 기리고 백성을 가르치기 위해 문자가 필요했습니다.
● 창제 과정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1443년경부터 연구를 시작하여 1444년 1월~2월경 '훈민정음’이 만들어졌습니다.
1446년 9월 상주본 ‘훈민정음’ 해례본이 반포되어 한글 창제가 완료되었습니다.
● 창제 원리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떴고, 모음은 천지인 삼재를 모방했습니다. 소리나는 대로 적는 표음문자의 원리를 따랐습니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원리로 창제되었습니다. 세종대왕은 집현전 학자들과 수년에 걸친 연구 끝에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원리로 한글을 창제하였으며, 이는 세계사적으로 유례없는 위대한 업적입니다.
◎ 한글(훈민정음)을 만든 세종대왕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국왕으로, 과학기술과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입니다. 그의 주요 업적으로는 한글(훈민정음) 창제, 과학기술 진흥, 집현전 설립, 국방 강화, 법전 편찬 등이 있습니다. 특히 한글 창제는 세계적인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한글 창제에 참여한 주요 인물
한글 창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세종대왕이었습니다. 세종대왕이 직접 문자 창제를 구상하고 연구를 주도했습니다. 집현전 학자들이 보조 연구원의 형태로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주도적 역할은 세종대왕이 맡았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학자들이 참여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실록 등 기록에 참여 인물들의 이름이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개인이 아닌 집현전 전체가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한글이 대단한 이유
한글이 대단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자로, 소리나는 대로 적는 표음문자입니다. 창제 원리의 독창성으로 세계 최초로 문자를 과학적으로 창제한 독창적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단순하고 배우기 쉬운 구조로 기본 자모 28자만으로 모든 소리를 표기할 수 있어 단순하고 배우기 쉽습니다.
- 문자생활화에 적합하며, 표기의 유동성으로 한글은 상당히 유동적이고 융통성이 있어 다양한 언어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
- 미적 조화와 과학성의 겸비로 과학적이면서도 미적으로도 아름답고 조화로운 문자입니다.
◎ 한글이 다른 언어와 다른 점
한글이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창제 원리로 세계 최초로 문자를 과학적 원리에 따라 창제한 독창적인 문자입니다.
자음과 모음의 원리가 명확하고 체계적입니다.
발음대로 적는 표음문자로 문자생활화에 매우 적합합니다.
기본 자모 28자만으로 모든 소리를 표기할 수 있어 단순합니다.
유동성과 융통성으로 상당히 유동적이고 융통성이 있어 다양한 언어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단어 창조와 표기에 용이합니다.
미적 조화와 과학성의 겸비로 과학적이면서도 미적으로 아름답고 조화로운 문자입니다.
한글을 사랑합시다! 한글은 우리의 언어이며,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한글의 과학성, 독창성, 유동성 등을 이해하고 알리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더욱 높여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글을 통해 우리의 언어와 문화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봅시다!
2024.06.09 - [국가의 날, 기념일, 공휴일, 비공휴일] - 제헌절 공휴일 될까?
'국가의 날, 기념일, 공휴일, 비공휴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15일에서 변경된 "국군의 날" (0) | 2024.06.13 |
---|---|
9월 7일 여러분은 "푸른 하늘의 날"을 아시나요? (0) | 2024.06.13 |
“개천절: 한민족의 건국 기념일과 그 논란” (0) | 2024.06.12 |
8.15 광복절: 한민족의 자유를 되찾은 역사적인 날 (0) | 2024.06.12 |
제헌절 공휴일 될까? (1) | 2024.06.12 |